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파이썬
- 리뷰리뷰
- 혼공네트
- 네트워크
- 혼공C
- 자바스크립트
- 혼공스
- 혼공머신
- 혼공단5기
- 벌칸
- 혼공단
- 혼공얄코
- 머신러닝
- 데이터분석
- vulkan
- 불칸
- 혼공
- 혼공컴운
- 제이펍
- 컴퓨터그래픽스
- 책리뷰
- 혼공학습단
- 혼자공부하는얄팍한코딩지식
- 혼공S
- 혼자공부하는C언어
- 딥러닝
- OpenGL
- 나는리뷰어다
- 한빛미디어
- 혼자공부하는네트워크
- Today
- Total
목록서평 (96)
Scientia Conditorium

[혼만파] 혼공학습단 14기_혼자 만들면서 공부하는 파이썬 2주차[기본 숙제] Ch.03(03-1, 03-2) 이미지 가공(크기 변경, 합성) 후 결과 화면 캡쳐하기 결과 화면실행 코드더보기from pathlib import Pathfrom PIL import Imagefrom PIL import ImageDrawfrom PIL import ImageOpsimg = Image.open("image.png")draw = ImageDraw.Draw(img)draw.text( xy = (10, 100), text="Hello, World!", fill=(255, 255, 255), font_size = 100,)SIZE = (500, 375)#img_resize = img.resize(S..

[책리뷰] 모두의 딥러닝 전반적인 소감 및 마음에 드는 부분홍콩과기대 김성훈 교수님의 유명한 딥러닝 강좌 '모두를 위한 딥러닝' 의 교재 느낌이다. 물론 저자는 다른 사람이다. 이 책의 저자는 인디애나 대학교의 조태호 교수님이다. 길벗 출판사의 모두의 시리즈 중 하나이기 때문에 언급한 강좌와는 무관하다고 봐도 된다. 책 제목답게 누구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딥러닝 교과서 같은 느낌이다. 딥러닝 책들이 즐비한 가운데 이 책이 왜 4판까지 개정되어서 나오는지 이해됐다. 불필요한 내용은 최대한 줄이면서 딥러닝 기초부터 최신 기술까지 알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선택하는 것 같다. 대상 독자 및 책 난이도이제 막 딥러닝을 공부하려는 사람들이 보면 좋다. 딥러닝을 가볍게 알고만 있어 개념을 정리하..

[혼만파] 혼공학습단 14기_혼자 만들면서 공부하는 파이썬 1주차[기본 숙제] Ch.01(01-1, 01-2) 폴더 크기 측정 결과 화면 캡처하기책에서는 각 기능마다 파이썬 파일을 따로 만들었다. 그러나 내 기준에서는 어쨌든 폴더 크기를 측정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하나의 파이썬 코드에 전부 넣는 방식으로 수정했다.결과 화면[추가 숙제] Ch.0(01-3) 폴더 크기 측정 프로그램 시각화(차트) 결과 화면 캡처하기 수정한 테스트 코드더보기import json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import numpy as npfrom pathlib import PathWORK_DIR = Path(__file__).parentOUT_DIR = WORK_DIR / "output"OUT_2_..

[책리뷰] 더 이상 오해받지 않는 말투의 기술 전반적인 소감 및 마음에 드는 부분사회 생활하면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화법을 정리해둔 느낌이다. 몇몇 말투는 뭔가 일본인스럽다라고 느껴진다. 저자의 의도 중 마음에 드는 부분은 기본 원칙을 잘 알아두라는 것이다. 즉, '상대방과 함께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싶은 상황'에서는 밝은 미래를 보여주고 '양쪾의 이해관계가 일치하지 않을 때'는 어두운 미해를 보여주라는 것이다. 이 말의 가장 쉬운 예시는 물 컵에 담긴 물을 보고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다. '컵에 물이 반이나 있다'와 '컵에 물이 반밖에 없다' 라는 점이다. 다른 상황을 예시로 들어보자면 '고객들 중 10퍼센트가 부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와 '고객들 중 90퍼센트가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라는 말..

[책리뷰] 당신은 AI를 어디까지 믿을 수 있나요? 전반적인 소감 및 마음에 드는 부분책이 출판된 시점에서 AI를 이용한 거의 모든 범죄를 다룬 책이다. AI 문외한이라면 이 책을 통해 인공지능으로 이런 범죄도 일어날 수 있구나를 느낄 수 있다. 책에서 말한대로 기술은 본래 중립적이어서 그 자체로 좋거나 나쁘다고 할 수 없다. 중요한 건 그 기술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이다. 그 예시를 미술품으로 들고 있다. 복원이란 진품에 최대한 가깝게 재현하는 작업이다. 그리고 위작은 진품에 최대한 비슷하게 그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복원과 위작은 추구하는 목표가 같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인공지능 활용 역시 마찬가지다. 단순 반복적인 작업을 맡기려고 발전되어 왔는데 이를 악용해 범죄에 이용되고 있다. 이..

[책리뷰] 멀티패러다임 프로그래밍 전반적인 소감 및 마음에 드는 부분멀티패러다임(Multi-paradigm)이란 여러가지 프로그래밍 스타일이 섞인 형태를 뜻한다. 대표적으로 절차지향, 객체지향, 함수형, 명령형 프로그래밍 등이 있다. 즉, 객체지향이 최고니 객체지향으로만 프로그래밍 하자가 아니라 각 패러다임에서 좋은 점들을 모아 적재적소에 사용하자는 것이다. 언어를 학문이나 철학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어떤 제품을 만들거나 문제 해결의 도구로 여겨 가장 효과 좋은 방법을 채택한다면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패러다임이다. 저자도 말했듯이 프로그래머들은 어떤 언어가 좋고 무슨 패러다임이 좋은지 논쟁할 필요가 없다. 특정 라이브러리나 언어에 얽매이지 않고 더 많은 문제를 빠르고 안전하고 유연하게 해결할 수 있으면 된..

[혼공단]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 혼공단 13기 - 6주차[기본 숙제] Ch.04(04-5) 확인 문제 풀고 인증하기(p.340 ~ 341) [추가 숙제] 깃 , 깃 호스팅 서비스 강의 듣고 정리하기(p.346 ~ 354)깃(Git)필요한 이유버전 관리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나중에 이전 기능을 다시 가져오게 될 수고 있고,누군가 실수로 잘못된 코드를 섞으면 복원해야 할 때도 있고,코드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과거 내역을 확인해야할 때를 위해바뀌기 전 내역들을 중간중간 저장소프트웨어 버전이 크게 변하는 중요한 시점마다 프로젝트를 통째로 압축해서 zip 파일로 날짜나 설명 등을 파일명에 넣고 따로 저장해두는데 이걸 도와주는게 Gitzip 파일로 저장했을 때 이것들이 계속 쌓이다보면 용량도 많..

[혼공단]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 혼공단 13기 - 5주차[기본 숙제] Ch.04(04-3) 확인 문제 풀고 인증하기(p.308 ~ 309)[추가 숙제] 절차지향 / 객체지향 / 함수형 프로그래밍 특징 정리하기(p.292 ~ 303)절차 지향 프로그래밍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것처럼 소스 코드를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읽는 방법소스 코드를 순차적으로 실행하기 때문에 소트 코드의 순서가 굉장히 중요하며, 프로그램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모든 구성 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소한 문제 하나만 생겨도 시스템 전체가 돌아가지 않음실행 순서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소스 코드의 순서가 바뀌면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객치 지향 프로그래밍객체란 프로그램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 요소를 데이..
[혼공단]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 혼공단 13기 - 4주차[기본 숙제] Ch.03 마무리 용어 정리하기(p. 219)IP : 데이터 통신 규약이며, IP 주소는 PC나 스마트폰 같은 기기의 네트워크 주소를 의미도메인 : 사람이 기억하기 쉽도록 문자로 만들어 특정 IP에 연결한 인터넷 주소DNS : IP 주소와 이에 해당하는 도메인의 IP 정보를 갱신하며,특정 도메인에 대한 요청이 들어오면 IP 주소를 찾아 알려 주는 시스템WWW : World Wide Web의 약자로 전 세계의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인터넷 공간HTTP :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서버의 응답으로 이뤄지는 통신 규약HTTPS : HTTP에 보안 기능을 추가해서 보다 안전하게 만든 통신 규약 [추가 숙제] Ch.0..

[혼공단] 혼자 공부하는 얄팍한 코딩 지식 / 혼공단 13기 - 3주차[기본 숙제] Ch.03(03-5) 확인 문제 풀고 인증하기(p. 202 ~ 203) [추가 숙제] Ch.02(02-3)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 둘러보고 직접 사용해보기(뤼튼에서 챗GPT4를 무료로 사용해 보세요: https://wrtn.ai/)이미 chatGPT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뤼튼을 이용하지 않고 chatGPT를 직접 사용하였다. 이런 생성형 인공지능 중 LLM 모델을 평가할 때 대표적인 문제가 바로 소수점 자리 구분하기 이다.아래처럼 chatGPT에게 "3.9와 3.11 중 어느 숫자가 더 큰 숫자야?" 라고 질문하면 틀린 대답을 내놓는다. 이 문제는 거의 대부분의 LLM 모델에서 틀린 답을 내놓는다. 여기서 더 자세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