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나는리뷰어다
- 책리뷰
- 네트워크
- 혼공S
- 혼공
- 벌칸
- 불칸
- 혼공머신
- 자바스크립트
- 혼자공부하는네트워크
- 머신러닝
- OpenGL
- 혼공컴운
- 혼공얄코
- 혼자공부하는얄팍한코딩지식
- vulkan
- 딥러닝
- 혼공단
- 혼공스
- 리뷰리뷰
- 혼공네트
- 혼공학습단
- 데이터분석
- 컴퓨터그래픽스
- 파이썬
- 혼자공부하는C언어
- 혼공단5기
- 혼공C
- 한빛미디어
- 제이펍
- Today
- Total
목록서평/IT-책 (75)
Scientia Conditorium

모든 기업가가 읽어야할 귀중한 지침서라고 적혀있다. 이 책을 읽고 난 이후 특히 스타트업 창시자들은 반드시 읽어봐야할 필독서라고 생각된다. 그 이유를 처음부터 명쾌하게 알려준다. 두 기업가 스티브와 래리를 예시로 들어 설명해준다. 많은 개발자들이 좋은 아이디어 하나만 가지고 창업을 시작한다. 기술력도 좋다. 누가봐도 제품만 나오면 당장이라도 고객들이 줄서서 살 것이다. 문제는 제품이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개발자의 오류이기도 한데, 너무 완벽한 상태로 제품을 출시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흔히들 MVP(Minimum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을 말한다. 즉, 자동차를 만들어서 팔아야지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면, 시작부터 자동차를 만드는건 너무 오래걸린다는 것이다..

[기본 미션] p.182의 확인 문제 2번 풀고 인증하기 데이터 정제 : 수집된데이터에서 잘못된 부분을 고치거나 제거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준비하는 과정 데이터가 올바르게 정제되지 못하면 분석된 결과를 왜곡시킬 수 있으며 잘못된 의사 결정을 초래하기도 함 데이터 랭글링(데이터 먼징) : 데이터를 정제하는 과정과 분석 및 머신러닝에 적합한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과정 원소별 비교 : 판다스의 데이터프레임과 인덱스를 하나의 값과 비교하면 데이터프레임과 인덱스에 있는 모든 원소와 비교. 비교한 결과는 True 또는 False로 이루어진 불리언 배열로 반환 넘파이(Numpy) : 파이썬의 대표적인 다차원 배열. 판다스의 데이터프레임과 달리 한 종류의 데이터만 담을 수 있지만 매우 효율적이고 성능이 높음. 파이썬..

[기본 미션] p.150의 확인 문제 1번 풀고 인증하기 웹 페이지나 웹 기반 API를 호출하는데 requests 패키지를 많이 사용 HTML 안에 있는 내용을 찾을 때는 뷰티플수프(Beautiful Soup) 사용 find() : 첫 번째 매개변수에는 찾을 태그 이름을 지정하고, attrs 매개변수에는 찾으려는 태그의 속성을 딕셔너리 지정 find_all() : 테이블 태그를 리스트로 가져오기, 특정 HTML 태그를 모두 찾아서 리스트로 반 [선택 미션] p.137~138 손코딩 실습으로 원하는 도서의 페이지 수를 추출하고 화면 캡쳐하기 실습하면서 나왔던 오류들 1. requests 사용하기 전에 'import requests'해주기 2. requests와 request, 뒤쪽 s 스펠링 주의 3. p..

[기본 미션] p.81의 확인 문제 4번 풀고 인증하기 CSV(Comma-separated values) : 콤마(,)로 구분된 텍스트 파일 한 줄이 하나의 레코드이며 레코드는 콤마로 구분된 여러 필드로 구성 데이터는 엑셀처럼 표 형태여야 하기 때문에 레코드에 있는 필드 개수는 모두 동일 read_csv() : 판다스 패키지를 이용하여 csv 파일을 읽을 때 사용 to_csv() : 판다스의 데이터프레임을 csv로 저장할 때 사용, 기본적으로 UTF-8 형식으로 저장 [선택 미션] p.71~73 남산 도서관 데이터를 코랩에서 데이터프레임으로 출력하고 화면 캡쳐하기

[책리뷰] 개발자를 넘어 기술 리더로 가는 길 A Guide for Individual COntrobutors Navigating Growth and Change The Staff Engineer's Path 흔히들 개발자들 커리어를 말해보라고 하면 처음 주니어(초급) 프로그래머부터 시작해서 시니어(중급)를 거쳐 고급 프로그래머 혹은 책임자(Director)가 되고 이어서 CTO가 되는걸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 개발자들 커리어는 그리 단순하지 않다. 불꽃남자25님의 블로그 글 'IT 개발자 커리어 패스에 대해서'를 보면 세분화된 개발자 진로를 볼 수 있다. 추가로 okky 개발자 지식공유 플랫폼에서 운체조교님이 작성하신 '평범한 개발자가 되는 것은 원래 어렵습니다' 에세이를 보면 개발자가 진로가 단순하지..

[책리뷰] Docs for Developers 기술 문서 작성 완벽 가이드 문서화는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신입 개발자가 입사했을 때, 모든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하며 개발 과정을 엿볼 수 있게한다. 대표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 문서를 보자. 비쥬얼 스튜디오에서 발생한 모든 오류에 대한 정보가 이미 문서화되어있다. 심지어 개발을 위한 기초 가이드 문서도 잘 작성되어있다. 물론 이 문서화하는 과정은 굉장히 번거롭고 귀찮은 작업이다. 가끔보면 이 문서화를 왜 해야되나 라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그러나 개발자라고 칭한다면 문서화는 해야한다. 부제로는 테크니컬 라이터들을 위한 기술 문서 작성 가이드북이지만 대부분의 개발자들한테도 통용되는 얘기라고 생각한다. 개발자들은 단순히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코드만 작성하..

[책리뷰] 게임 전쟁 - 게임 패권 다툼 그리고 위대한 콘솔의 탄생 부제처럼 콘솔 게임 시장에 대한 역사를 다룬 책이다. 아직까지는 역사상 위대한 게임들은 대부분 콘솔 게임기에서 나왔기 때문에 콘솔 전쟁보다는 게임 전쟁이라는 타이틀도 어울려 보인다. 콘솔 게임기라고 하면 흔히들 플레이스테이션이나 XBOX, 닌텐도 게임기들을 떠올린다. 현재로서는 이 3개가 전부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스팀덱과 같은 콘솔기기가 등장하며 새로운 패권을 넘보고 있기는 한다. 이 책은 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전후의 콘솔 게임 시장에서 있었던 일들을 보여준다. 단순히 이러한 일이 있었다를 넘어서 왜 그런 콘솔 게임기가 나왔는지, 그 당시 제작사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 등등 관련 인물의 인터뷰 혹은 말들도 수록되어 있..

[책리뷰] 온디바이스 AI - AI and Machine Learning for On-Device Development 책 내용은 군더더기 없으며 모바일에 머신러닝을 접목시키고 싶은 개발자들을 위한 기초 책입니다. 다만 아쉬운 점이라고 하면 철저하게 구글 TF에 치중되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2019년 10월에 PyTorch 1.3이 출시되며 모바일을 지원한다고는 했지만, 책의 저자 로런스 모로니는 구글 AI Advocacy를 리딩하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경쟁사 모델인 파이토치를 다룰 필요가 없기는 합니다. 그래서인지 추천사를 보면 전부 구글 관련 개발자들로만 구성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단순히 임베디드 기계에 접목시키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TF Lite를 써야한다고 하기에 아쉬운 것은 2..

[책리뷰] 우리가 사랑한 한국 PC게임 - 사진으로 읽는 한국 게임의 역사 '당신이 읽고픈 책이 있는데 아무도 쓴 적이 없다면 그 책은 당신이 써야 한다.'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토니 모리슨의 말이다.이 문구는 조기현 저자 서문에 그대로 인용되어 있다. 이 책은 제목 그대로 약 1992년부터 2004년까지 한국에서 개발하고 발매된 PC 게임들을 정리하였다. 책 구성은 간단하다. 당시 나왔던 인기 게임 메인 사진과 함꼐 간단한 설명으로 구성되었다. 이 책이 단순히 '90년대에 이런 게임이 있었고 어떤 게임이다' 라고만 서술되어 있었다면 사전과 비슷한 느낌이 되었을 것이다. 내가 가장 마음에 들었던 것은 인터뷰 부분이다. 게임 4~10개 정도 소개를 해주고 이후 그 게임을 만들었던 대표 개발자 한 분의 인터뷰..

[기본 미션] p.400의 확인 문제 1번 풀고 인증하기 최초 적합(first fit) : 운영체제가 메모리 내의 빈 공간을 순서대로 검색하다가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발견하면 그 공간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방식 최적 적합(best fit) : 운영체제가 빈 공간을 모두 검색해본 후, 프로세스가 적재될 수 있는 공간 중 가장 작은 공간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방식 최악 적합(worst fit) : 운영체제가 빈 공간을 모두 검색해 본 후, 프로세스가 적재될 수 있는 공간 중 가장 큰 공간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방식 외부 단편화 : 프로세스를 할당하기 어려울 만큼 작은 메모리 공간들로 인해 메모리가 낭비되는 현상 [선택 미션] Ch.14(14-3) 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이 3개 있고, 페이지 참조..